주식 공부

좀 늦은 AMD, MSFT,GOOGL 실적리뷰

둔산동매콤주먹 2024. 2. 1. 03:51

AMD

실적 발표 후 고점 180 불 대비 한 6% 정도 빠짐

뭔가 실적이 맘에 안들거나 가이던스가 맘에 안들었던거 겠제?

실적 자체는 쥰니 잘나옴.

그런데 저번 고점에 정수리 여드름 꼭대기에서 샀던 사람들도 다 구출 해 주는 올타임 하이 갱신 중 이였기도 하고 좆텔 빼고는 다 실적 잘 나와서 이 정도는 예상 했던 바 아니였을까?

Data Center segment 부분은 yoy 38% 성장. 이건 AI 성장에 따른 수요증가로 잘 나올 수 밖에 없었제. 이 부분은 엔비디아>암드>인텔 로 가는 듯. 개인적으로 암드 GPU는 엔비디아에 비해서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생각하기는 하는데 (특히 CUDA)그래도 서버에서는 어쩔 수 없이 수요가 있나봄. 약간 TSMC vs 삼성파운드리 의 느낌이랄까... 엔비디아가 못 따라 잡는 수요 줏어먹기 + 엔비디아 독점 막기 +가격 협상력 확보용 으루다가.  암튼 AI가 계속 흥하는 이상 앞으로도 CPU는 뭐 말 할 것도 없고 GPU도 콩라인 유지하면서 잘 팔아묵으듯. 인텔은 파이는 커지는데 지혼자 점유율 줄어드는 븅신이라 딱히 땡기지 않는다.

Client segment(이게 개인 PC쪽 CPU 인가봄?)은 yoy 62% 성장인데 2022->2023 매출은 25% 꼬라박. 이건 2022년이 아직 비대면 영향 남아있어서 노트북이 잘 팔렸던 기고 효과도 있어서 어쩔 수 없는듯. 이쪽은 AMD vs 인텔인데 디씨 노트북 갤러리 정기적으로 눈팅 해본 결과 가면 갈수록 노트북용 저전력 CPU 시장은 닥 AMD>>>>인텔 임. 7000시리즈만 봐도 개 잘나와서 엥간한 일들은 컴 안키고 노트북으로도 쌉가능함. 나도 요즘 컴 안키고 놋북만 쓰는듯. 아무튼 

Gaming segment는 좀 꼬라박음. 나도 AMD GPU 써본적 없고 앞으로도 쓸 일 없을듯. 개인용 AI학습용 GPU로 AMD사는 미친놈은 진짜 한번도 못봄. 게임도 뭐 신제품 출시할때마다 벤치마크 점수로 잘 나온다 구라치는데 라데온으로 게임 하면 최적화도 뭔가 부족한 느낌이고 그냥 알 수 없는 이유의 버그들 막 생기고 이런것들 디씨 컴퓨텁본체 갤러리 물어보면 라데온 산놈이 감당하라면서 조롱이나 당함 .삼성이 AP 벤치마크는 애플 A시리즈 따는데 막상 게임하면 실체감은 아이폰한테 개발리는 느낌이랄까.

Embedded segment 이부문은 잘 모르겠음. 이거보고 알았는데 Xilinx AMD가 인수 했구나. 이거 많이 씀.

내 전망 요약: 서버 굿 CPU 굿 Gaming 망할거 같음

그 외 뉴스로는 뭐... 별거 없고 기대중인거는 Ryzen 80 시리즈인데 이게 저전력용 내장그래픽이 노트북갤러리피셜 1050ti 라는 썰이 있음. 물론 노트북 바다 쿨링 환경이 달라서 벤치마크 점수랑 실사용이랑 다르기는 한데 이정도면 하루 1시간 가볍게 게임하는 용도로는 저전력 놋북으로도 엥간한 게임 쌉 가능일듯. 이거 탑재한 노트북 이번분기부터 나온다는데 잘 나오면 살 예정.

MSFT

시총 1위 애플 따잇 한 마소.

시총 1위가 영업 이익 33% 성장하는 미친세상. 

오피스, 잘 팔린듯. 2023년에 PC자체가 잘 안팔렸는데 이게 성장한게 신기함. 한번 팔고 땡인 office2021같은 단품에서 office365 팔아묵는게 돈이 달달한듯. 마지막 office단품제품 office2021이 개 구데기 구형 프로그램이 되면 어쩔수 없이 office365 구독하게 되서 앞으로도 가입자가 증가할 수 밖에 없는 구조. 가입자 7840만 명이 미친거 같은데. 그리고 office 365의 수익성 부분도 개선될 거임. 우리학교도 곧 office365 정책 바껴서 무제한 사용에서 용량제한하고 그러던데 개같음 아오.  linkedin은 마소꺼인지도 몰랐는데 이건 보여주다가 마는거  꼴 받아서 절대 결제 안하지. Dynamic 365는 안써봐서 몰루

클라우드도 수익보기 쉽지 않은데 뭐 탄탄대로로 성장하고 있는듯. Azure도 AWS못지 않게 쓸만하긴 함.

앞에서 말한대로 PC 잘 안팔렸을텐데 윈도우 매출이 늘었네. 신기하다. 그리고 이제 곧 윈도우12 나와서 2024년은 더 좋을듯. 기기 수익 9% 감소는 서피스를 그렇게 ㅄ같이 내는데 당연하제. 한국이 노트북이나 IT쪽 기기 부분은 트렌드를 선구한다고 보는데 서피스는 조또 안팔려서 전세계에서 제일 쌈. 이쁜 쓰레기라 가격이라도 싸야 전시용으로 사지. 게임쪽은 액블 인수해서 늘어난거 같음. 근데 엑박 게임패스가 가면 갈수록 쌉 혜자가 되가고 게임구독 특성상 한번 구독하기 시작하면 게임 별로 안하더라도 한달에 한번하면 이득이라는 마인드로 구독 계속 유지하게 되서 사용자가 쭉 늘어날 것 같음. xbox가 조또 안팔리지만 이게 저전력 노트북 + 엑박패스로 클라우드 게이밍 하는게 진짜 좋고 편함. 검색 및 광고는 앞으로 EU놈들이 쥰내 팰거 같아서 잘 몰?루

그리고 대형언어모델은 내가 대충 다 써봤는데 오픈AI의 ChatGPT가 짱인거 같음. 지금은 수익성으로는 별 볼일 없지만 대형언어모델에서는 젤 먼저 이슈 이끌어서 사용자 끌어모으는게 중요한거 같음. 엔비디아가 CUDA로 사람들 다 끌어모으고 이제 CUDA에 익숙해진 사람들이 엔당꺼 글카만 쓰는거처럼... 지금도 GPT store기반의 유저 플러그인이 타 언어모델 대비 압도적임.

근데 시총 3000조 마소 PER가 40인게 맞나? 나스닥 지금 좀 고점인거 같긴해.

GOOGL

그렇게 많이 오른편도 아닌거 같은데 실시간으로 꼬라박는중

비트다 비트. 알빠노? 선반영 하락중

일단 서비스 부분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쓰는 사람 늘어나면 성장하는 구조. 그런데 이 부분은 앞으로 전망이 써억 좋지 않은거 같음. 스마트폰 사용자 자체가 이미 피크를 향해 가고 있고 그렇다고 수익성 개선하기에는 애플도 지금 애플스토어 독점 쳐맞아서 수수료 30%->20%로 내리는 마당에 구글도 똑 같이 안 쳐맞으리란 보장이 없음. 안드로이드 시장 늘릴려면 뭐 구글홈, 스마트워치 등 다른 기기들에 안드로이드 이빠이 탑재시켜야 되는데 글쎄 잘 모르겠다... 유비쿼터스고 뭐고 걍 주머니에서 폰 꺼내면 다 되는데 굳이? 광고 쪽이야 뭐 지속적으로 쳐맞고 있기도 하고, 최근 가격올린 유튜브 프리미엄이 그나마 수익성 개선할 껀덕지 인듯.

클라우드 부분은 성장률 개지림. 이거는 AI 산업의 발전과 함께 같거 같음. 구글 colab이 간단하게 코드 돌려보기 개 편하긴 함. 근데 이건 구글만 성장하는게 아니자너. 딴거 살듯 걍.

AI쪽도 구글이라는 강력한 검색엔진 기반 빅-데이타 있기는 한데 현재 기준 openAi한테 개 발리는거 같음.

 

오와리다.